본문 바로가기
경영, 경제, 사회

노후준비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정리

by 승또찌 2024. 6. 27.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노후준비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번 우리나라 노인빈곤율, 노후준비의 현실과 문제점 글은 아래 글 참고해주세요.

    2024.06.26 - [경영, 경제, 사회] - 우리나라 노인빈곤율 최고_노후준비의 현실과 문제점 진단(1)

     

    우리나라 노인빈곤율 최고_노후준비의 현실과 문제점 진단(1)

    안녕하세요 오늘은 노후준비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노후준비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중입니다. 이러한 고령화에 따른 문제점은 평균수명의 증가

    moongs-yololife.tistory.com

     

    노후준비의 필요성

    노후준비

    우리나라의 고령 사회 진입으로 인해 노후준비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는데요. 또한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개인 생애주기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고령화 사회진입과 평균수명의 증가는 노년시기를 과거의 부차적인 삶의 시기가 아닌 인생의 새로운 시작이며 전환점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성공적인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노년기의 이해와 노년기의 준비해야될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의 현실을 이해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야합니다.

     

    (1) 재무적 관점

    노인

    우리나라의 노후준비는 공적연금 위주로 되어 있으며 전 국민 대상으로 국민연금을 시작한 것은 1999년으로 역사와 가입 기간이 길지 않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43.4%이며 노후준비가 가장 잘 된 프랑스의 경우 빈곤율은 4.1%입니다.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았을 때 39.3%의 빈곤율 차이가 나며, OECD 평균 노인 빈곤율 14.8%과 비교했을 때도 28.6%의 빈곤율 격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노후준비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노후준비 필요성 인식제고와 노후자금 마련방법과 같은 사전예방적 조치를 통해 향후 노후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2) 건강 관점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은 삶의 질과 재무적 문제로 구분하여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 장년의 운동참가는 40% 선에 머물고 있습니다. 건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하지 않고 노년기를 맞이할 경우 행복한 노후생활보다는 고단하고 힘든 병치레 생활을 보내게 되어 삶의 질은 매우 낮아지게 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노년기의 건강은 앞으로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건강학헤 사느냐'가 노후행복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일 것입니다.

     

    (3) 여가 관점

    여가는 노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훌륭한 도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여가활동에 대한 인지도가 낮습니다. 노후 문화가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노후자들이 매우 다양한 여가 활동을 즐기고 있습니다. 자기 나름의 계획을 세워 여행과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것은 물론, 평생학습을 하거나 기술을 배워서 관련 자격증을 딴다든지, 사회봉사활동을 펼치는 등 자기계발과 사회참여를 병행하는 활동도 적극 펼치고 있습니다.

     

    (4) 대인 관점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가장 큰 이슈는 이혼의 증가와 자녀의 부양의무의식 감소로 인한 독거노인이 증가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자녀들의 부양의식이 낮아짐에 따라 자녀동거생활에서 홀로사는 노인의 가구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혼자 노후생활을 하는 독거노인은 2020년 161만 8천 명에서, 2025년 224만 8천 명으로, 향후 2050년에는 467만 1천 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노후준비 기대효과

    노인빈곤율

    노후준비를 잘 하게 되면 1) 우리사회의 질적 개선이 가능해지며 2)고령사회 대응력 강화 기회 3) 복지 인프라 활용과 사회 책임 주체별 역할분담 확대 의 기대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영역별 노후준비에 필요한 사항도 생각해보며 계획하여 노후에 대한 인식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